- 아동기 ADHD 의 경우 남녀비율이 3~5 : 1 로 남아에게 우세한 편이지만
성인 ADHD 는 남녀비율이 거의 1:1 에 육박하게 된다.
성인 ADHD 의 경우, 성장하면서 과잉행동이 사라지면서
주의력결핍 유형의 진단이 우세한데,
특히 여성은 주의력결핍 유형으로 뒤늦게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.
- ADHD 치료 과정 중에 약물치료는 중요하다.
약물치료에 대한 반응률이 80% 에 이를 정도로
ADHD 는 약물치료를 통해 좋은 효과를 볼수 있다.
약물을 복용하면 ADHD 환자에서 문제가 되는
뇌 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.
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
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다.
노력만으론 개선되지 않았던 것도 약물의 도움을 받으면 쉬워진다.
스스로 문제를 조절할수 있을 만큼 훈련됐다면
복용용량이나 횟수를 줄일 수 있다.
경우에 따라 약물치료가 지속될 수도 있다.
-ADHD 가 있는 아이들의 뇌는
일반아이들의 뇌 발달보다 5~6 년 이상 늦다.
뇌 전체의 핵심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발달에서 차이가 있다.
과거엔 ADHD 가 아동에게만 발생하는 병인줄 알았다.
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초등학교에 들어갈 무렵 두드러지다
사춘기를 넘어가며 괜찮아지기 때문이다.
그러나 최근 기능성 MRI 로 한 뇌 영상 연구로 그 이유가 밝혀졌다.
어린 시절 지연된 뇌발달은 사춘기를 지나면서도 계속 진행되고,
그 결과 눈에 보이는 과잉행동은 감소한다.
-ADHD 가 있는 이들은 기존의 틀을 벗어나
새로운 것을 창조하거나 개발해야 되는 분야에서
눈에 띄는 강점을 보인다.
넘치는 에너지와 다양한 사고를 하는 힘이 색다르고
창의적인 발견을 할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.
-수면의 질 문제 역시 ADHD 환자들이 갖고 있는 흔한 문제 중 하나이다.
환자 입장에서는 ‘불면증’ 이라고 호소하지만
사실은 본인의 생활습관과 수면을 위한 뇌의 작동스위치가
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생기는 증상이다.
잠자는 시간과 일하는 시간을 구분해야 하는데,
ADHD 의 뇌는 계속 활동하고 싶어하기 때문에
잠들기도 어렵고 자고 나서도 개운하지가 않다.
-학동기 아동의 약 4~12% 가 ADHD 에 해당되며,
ADHD 로 진단받은 아동의 70% 이상이 청소년기까지,
50~65% 는 성인기까지 증상이 지속된다.
-ADHD 진단과 치료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,
장기간 지속된 실망감, 낮은 자존감, 경제사회적 위축 등으로
정신적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.
술이나 담배에 빠져드는 이유는 또래들과 어울리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지만,
무력감과 우울감, 자존감 저하를 스스로 극복해보려는 노력의 하나이기도 하다.
-치료기간은 아직까지는 장기전이다.
병의원에서 계속 치료해야 한다기보다는
일단 병의원에서 치료가 종결되더라도
장기간 ADHD 로 인한 문제에 대하여 계속 인식하고
개선하기 위하여 스스로 훈련하고 주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뜻이다.
현재 ADHD 의 치료는 대부분 완치보다는
ADHD 로 인한 문제를 개선하여 생활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.